GSJun
중간고사 시험 1차시 대비 정리 본문
컴퓨터공학기초 수업 정리
교과서 분량 128p
01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우리 사회
내용 : 2p ~ 42p
3p ~ 10p 가상 세계, 메타버스
11p ~ 26p 인공지능과 삶의 변화
27p ~ 38p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
39p ~ 42p 제4차 산업혁명 시대
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우리 사회
가상 세계, 메타버스
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메타버스
메타버스(metaverse)
- 1992년, 닐 스티븐슨의 공상과학 소설 ‘스노 크래시(Snow Crash)’ 메타버스와 아바타
의 개념과 용어가 처음 사용
- 초월, 가상을 뜻하는 ‘Meta’와 / 우주, 현실 세계를 뜻하는 ‘Universe’의 합성어
- 현실을 초월한 가상 세계를 의미
- 가상현실과 증간현실 기술을 합쳐 더욱 발전된 기술이 집약된 가상 세계
메타버스 개념
기술 연구 단체 ASF의 메타버스 분류
증강 현실(Augmented Reality)
- 현실 공간에 2D 또는 3D로 표현한 가상의 정보를 표시해 상호작용 하는 환경
ex) 포켓몬고
일상기록(Lifelogging)
- 블로그처럼 어떤 형태로든 자신의 인생을 기록하는 것
ex) 인스타그램, 애플워치
거울 세계(Mirror Worlds)
- 디지털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세계를 사실적으로 반영한 세계
ex) 구글어스
가상 세계(Virtual Worlds)
- 현실 세계의 경제적. 사회적인 활동과 유사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
디지털 데이터로 구축한 세계
ex) 리니지. naver 제페토, 로블록스. 마인크래프트
가상현실(VR)과 증강현실(AR)
가상현실(VR: Virtual Reality)
- 현실세계가 아닌 가상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기술
- 인공적으로 어떤 특정한 환경 or 상황에 처한 것처럼 느끼도록 하는 모든 기술
- 가상현실 속에 있는 사물 or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
ex) 게임, 역사적 건출물 재현
- 영상출력 장치로는 머리에 쓰는 표시 장치 HMD(Head Mounted Display)가 대표적
증강현실(AR: Augmented Reality)
- 현실세계를 그대로 경험하면서 부가적으로 가상의 디지털 정보를 덧붙여
현실세계를 강화하는 기술
ex) 자동차나 기계의 설계, 의사의 수술 훈련
혼합현실(MR: Mixed Reality)
- 증강현실의 단점을 보완해 더욱 진화된 가상 세계를 구현하는 기술
ex) 관광 안내, 내비게이션 시스템
확장현실(XR: eXtended Reality)
-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그리고 혼합현실 기술을 모두 지징하는 용어
인공지능과 삶의 변화
- 1936년 앨런 튜링(Alan Turing) 기존의 계산기를 ‘지능을 가진 기계’라 불릴 수 있는
컴퓨터의 개념을 구상하였음 => 인공지능의 시초
- 인공지능은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의 학술대회에서 처음 언급
인공지능(AI: Artificial Intelligence)
- 인간의 뇌와 같이 높은 지능과 생각하는 방식을 가진 컴퓨터 시스템
- 인간의 지능 수준의 지적 능력을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기술
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이 사용된 다양한 분야
- 음성인식과 자연어 처리, 자동번역 등의 분야
ex) 애플의 시리, 삼성의 빅스비, IBM의 왓슨
- 인식 분야
ex) 생체 인식, 사물 인식, 자동차 번호판 인식 등
- 의료 분야
ex) X-ray 사진 판독과 각종 진단 증
- 자율주행 분야
ex) 드론, 자동차
- 예측 분야
ex) 주식 or 펀드, 환율, 일기예보 등
- 예술 분야
ex) 음악의 작곡, 그림을 그리는 회화, 소설을 쓰는 분야 등
GPU와 TPU
딥러닝에서는 심층신경망에서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대량의 행렬과 벡터를 사용하므로
GPU 사용이 매우 효과적임
GPU(Graphics Processing Unit) or GPGPU(General Purpose Graphic Processing Unit)
- 1999년 엔비디아(Nvidia)기 GeForce 256을 발표하면서 처음 사용
- 그래픽 연산 처리를 하는 전용 프로세서
- 일반 CPU 프로세서를 돕는 보조프로세서 로서의 GPU
- 그래픽 처리장치는 고속의 병렬처리로 대량의 행렬과 벡터를 다루는 데
뛰어난 성능을 발휘
- 12개 GPU가 2,000개의 CPU와 비슷한 계산 능력
TPU 텐서 처리장치(Tensor Processing Unit) [텐서: 벡터 행렬을 의미]
- 2016년 구글에서 GPU보다 뛰어난 연산 처리장치로 개발
- 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용 칩으로서 벡터 행렬연산의 병렬처리에 특화
- 텐서플로(TensorFlow)
- TPU를 위한 인공지는 라이브러리
- 소프트웨어로는 구글에서 오픈소스로 공개
음성인식 STT
STT(Speech-to-text)
- 음성인식(speech recognition)은 사람이 말하는 자연어를 분석 및 받아들임
- 그 내용을 해석해 문자, 명령어 및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변환해 주는 기술
ex) 인공 지능 개인비서 응용프로그램
자연어처리
- 언어간 통역 및 번역 서비스
- 음성인식 서비스
음성합성 기술
TTS(text to speech) 기술
-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
- 지하철이나 아파트 공공시설 내에 안내방송을 컴퓨터가 직접 가능ex
ex) 구글 번역기
챗봇
- 인간과의 대화에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참여하는 대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
- 사람과의 문자 대화를 통해 질문에 알맞은 답이나 각종 연관 정보 제공
- 텍스트, 그래픽, 음성을 이용해 사용자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
챗봇의 작동 방식
1) 문자 또는 전화 통화를 통해 문의를 받음
2) 메시지 내용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 내용과 관련 정보를 분석 및 파악함
3) 자연어처리 기술로 적절한 의도를 식별해 응답을 결정
4) 사용자에게 응답 내용 전달
챗봇 서비스 발전 단계
1단계 [챗봇]
-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축적하여 사용자가 질문하면 미리 설계한 알고리즘의
시나리오 기반으로 답변
- 한계 : 그 외의 질문은 답변하기 어려움
2단계 [지능형 비서](ChatGPT4)
-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함
- 단순한 형태의 소통이 가능하며 스스로 검색을 통해 질문에 답변
3단계 [감성 비서]
- 감성인지 기술 등이 더해져 사용자의 마음까지 읽는 서비스를 제공
- 서비스 전달 방식 또한 텍스트, 음성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화될 것으로 예상
AI콜(call)
- 인공지능이 걸려온 전화에서 사람처럼 응대하고 예약까지 받아주는 기술
- 음성인식, 자연어처리, 음성 합성 기술이 결합된 기술
- 고객 음성에서 문자를 추출해 의도를 파악하고
고객이 원하는 정답형 정보를 찾아 문장으로 다듬어 음성으로 합성
ChatGPT 3.5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
- openAI사에서 2022년 12월에 발표함
- 다른 챗봇과는 달리. 주고받은 대화와 대화의 문맥을 기억할 수 있으며,
모종의 보고서나 실제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비롯한
인간과 같은 상세하고 논리적인 글을 작성(다만 아직은 어색함)
ex) - 미 의회에서 연설문 작성
- 책 발행
- 개인 가정교사
자율주행 자동차(self-driving car)
- 사람의 개입 없이 안전주행이 가능한 자동차
자율주행 수준
수준 0~2 : 주행 책임이 운전자(부분 자동화 수준)
수준 3 : 주행 책임이 시스템(자율 주행 시스템이 운전조작의 모든 측면을 제어)
수준 5 : 운전자 없이 주행 가능(완전 자동화 가능 수준)
인터넷과 WWW
인터넷
- 인테넷 프로토콜을 통한 네트워크를 가리키는 고유명사
- 지구 전역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통일된 프로토콜을 사용해
자유롭게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세계 최대의 통신망
WWW(World Wide Web)
- Hyper text 기반 문서를 http 규약으로 저장, 공유하는 기술
- 1990년 팀 버너스 리가 개발
- 구조
- 웹 서버가 실행되는 서버에 각종 정보와 이를 참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
- 서버의 정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방식
-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(web brower)를 통해 정보를 검색하고 문서를 읽는다
모바일 시대
1990년 말, 정보기술에 여러 나라의 국나 및 기업들이 붙기 시작 >
닷컴버블 붕괴 > 2007년 애플의 아이폰 정보기술 분야의 혁신
스마트 혁명과 생활의 변화
포노 사피엔스(Phono sapiens)
-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인간을 지칭하는 말(스마트폰은 없으면 안됨...)
미디어의 디지털화와 OTT로의 발전
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OTT(Over The Top)
-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PC와 스마트 폰 뿐만 아니라 TV 등에서도 시청할 수 있는
드라마나 영화 등의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
- PC, 스마트폰, 태블릿 PC, 콘솔 게임기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며
실시간 방송과 VOD를 포함한 차세대 방송 서비스
OTT 분야의 추천 서비스
-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영화나 음악, 동영상, 책 등의 정보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
- 이용자의 취향, 성향에 대한 추천과 함께 시청 시간대. 시청 기기 등의 정보를 기반
- 비슷한 시청 형태의 군집으로 나누어 추천서비스에 활용
'동양미래대(1학년 1학기) > 컴퓨터공학기초(이창섭 교수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 공학 기초 9차시 내용 정리 (0) | 2023.05.04 |
---|---|
7차시 운영체제와 활용 내용 정리 (0) | 2023.04.19 |